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하는일, 되는법, 취업처 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본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학 전공별 경력가이드에서 찾아보았고,
이들은 각종 응용 분야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전문가 입니다.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유사명칭
응용소프트웨어엔지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자, 풀 스택 개발자,시스템 개발자, 프로그래머
주요진출 및 취업처
SI(시스템통합)업체, 소프트웨어개발업체, 금융권 등 기업체의 전산실
적합한 사람
끊임없이 변화하는 신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적극적인 자기계발의 자세를 갖춘 사람
사람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점검하고 해결하기 위해 비판적·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사람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하는 일
개인이나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응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에 출시된 응용소프트웨어에 대한 시장조사, 소프트웨어의 용도 파악, 고객의 요구 수렴 등을 거쳐 전체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
소프트웨어를 개발·완성 시키기 위한 전체적인 개발 계획과 자원 조달 계획을 편성
응용시스템에 대한 정보보호의 방법과 계획을 설정
소프트웨어의 세부적인 기능 및 사양에 관한 상세 설계
상세 설계에 따라서 단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여러 프로그램들을 모아서 응용시스템으로 결합
C, C++, 자바, 비주얼 스튜디오, 파이썬 등을 사용하여 개발언어로 바꾸는 코딩 작업을 거쳐 베타버전을 제작
이후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하며, 이를 통해 오류가 발견되면 수정·보완 작업을 거쳐 완제품을 출시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기능 및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분석
패키지성의 개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버전관리테스트를 통해 버그를 수정
이용자의 의견을 수집하여 다음 버전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반영
응용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의 운영 교육과 기술을 지원
필요역량
컴퓨터와 전자공학, C언어, 자바, 비주얼스튜디오, 델파이, 파워빌더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전문지식
전산, 기술 설계, 기술 분석, 논리적·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꼼꼼함, 책임감, 혁신, 진취성, 성취, 다양성, 이타성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경력개발
관련 전공: 소프트웨어공학과, 소프트웨어개발과, 컴퓨터공학과, 전산과, 공학교육학과, 물리·과학과, 수학과,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통계학과 등
대학 교과목: 컴퓨터구조론, 데이터구조론, 프로그래밍언어, 운영체제, 비주얼프로그래밍, 수학, 컴퓨터프로그래밍, 자료구조 ACL 실습, 디지털회로, 도메인분석 및 SW 설계, 컴퓨터 네트워크, 기초컴퓨터 등
대학 내 비교과프로그램: 프로그래밍 동아리, 코딩, 해커톤 및 SW 경진 대회 참여
직업훈련 및 능력개발과정: 직업훈련포털(HRD넷) 등에서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관련 훈련과정 개설 정보 확인하여 이수 가능
일경험: IT 기업 인턴십
자격증: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기능사(국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국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국가), 빅데이터분석기사(국가), MCSE(국제), SCJP(국제), OCP(국제)
자기주도적 활동: 관련 학회 참석, 개인 프로젝트 진행, 블로그 또는 GitHub 운영, 개발자 커뮤니티 활동, 외국어 공부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주요 진입 과정
진출자 전공 영역: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과, 전산(공학)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함.
경력경로: 채용 시 학력보다는 경력이 더 중요한 편이며, 대다수의 업체에서는 공개채용을, 소규모 기업은 학교 또는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채용하고 있음.
보통 기업 및 공공기관의 공개채용과 인턴쉽 연계 채용을 통해서 경력 시작. 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경우에는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로 채용이 진행되는 편임.
혹은 1인 프로젝트를 통해서 경력을 시작하기도 함.
경력자들의 채용은 학력보다는 진행한 프로젝트 내용와 담당 업무가 중요 평가 대상이 됨.
프로젝트의 크기에 따라 프로젝트 수석 개발자가 프로젝트 관리자를 역임하기도 하고 개발 총괄자와 프로젝트 관리자(또는 관리부서)가 별도로 나뉠 수도 있음.
따라서 커리어에 따라 개발자에서 관리자로 직무가 달라지기도함.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로 경력을 쌓은 후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프로그래머)로 옮기기도 하며, 숙련자는 IT컨설턴트로 진출하는 경우도 있음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관련 정보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https://www.nipa.kr/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https://www.sw.or.kr/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https://www.kait.or.kr/
취업 조언
보통 개발팀은 혼자서 일하는 경우가 드뭅니다.
팀을 이루어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팀워크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팀입니다.
대부분 이 부분을 많이들 힘들어합니다.
성격이 아무리 쾌활하고 좋은 사람이라 치더라도 긴 시간을 개발에매달리다 보면 심적으로 체력적으로 지치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나 아닌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방법을 아는 것도 이 세계에서는 중요한 일 같습니다.
또 주로 앉아서 머리를 싸매고 컴퓨터와 씨름을 하는 직종이다 보니, 체력관리가 쉽지 않습니다.
공부와 체력 모두에서 꾸준한 자기 관리가 요구되는 직업입니다.
웹엔지니어 (하는일, 되는법, 경력개발, 취업처) – 알아두면 쓸모있는 잡학사전
조회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