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종묘기사 자격증(진출분야, 응시방법, 전망 등 )

임업종묘기사, 임업종묘산업기사, 임업종묘기능사 자격증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본 자료는 고용정보원의 ‘2010 국가기술자격 정보’에서 찾아보았고,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각종 자격증 정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임업종묘기사-자격증-진출분야-응시방법-전망

 

 

임업종묘기사 자격증 개요

농촌연료 중심의 조림사업에서 경제림과 특수용림 중심으로 조림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토양, 기후 등 산림환경에 알맞는 종묘개발과 묘목을 심는 기술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임업종묘기사 및 산업기사, 임업종묘기능사 자격이 제정되었다.

임업종묘기사 및 산업기사는 주로 각종 도구와 실험계기 등을 사용하여 종자를 검사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종묘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전 등의 방법에 따라 재배 시킨다.

또한 성장에 적정한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을 조사·연구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종묘를 육성하기 위하여 묘포에서 행해지는 각종 작업을 관리·감독하며, 병충해 등 방제작업 및 산림보호에 관한 사항을 조사·연구한다.

임업종묘기능사는 임업종묘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주로 묘포작업, 번식, 종자채종, 정선, 묘목생산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각종묘포장에서 종자를 고르고, 토양, 기후조건 등의 환경과 나무의 적응성 여부, 성장가능성, 크기와 성장속도 등을 고려하여 심고, 발아를 촉진시킨다.

이후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묘판 흙갈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농약 및 비료의 살포, 제조, 가지솎기, 볕가림, 꺾꽂이, 접붙임, 병충해 방제작업 등 임업종묘를 위한 실무를 수행한다.

또한 수목지 묘상에서 굴취된 묘목의 뿌리구조, 가지발육상태, 잎의 상태 등을 묘목기준표와 비교하여 분리한 뒤 기준이하의 묘목은 버리고 우량한 묘목은 조림지에 식재하기 위하여 포장하는 업무를 한다.

 

 

 

임업종묘기사 자격증 진출분야

묘목농장, 벌목업체, 조림업체, 임업시험장, 임업종묘생산업체, 목재관련 종합상사, 제지회사, 가구회사, 합판 등 목재회사, 해외조림 및 삼림개발회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임업연구원, 각 시·도 산림부서, 산림청을 비롯한 관련 정부기관, 임업관련기관 등에서 활동할 수 있다.

이 밖에 임업과 관련한 경력을 쌓은 후에 조경관련업체로 이직을 하거나 자신이 직접 벌목업체, 조림업체, 목재가공업체 등을 운영하기도 한다.

 

 

 

효용성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수목원 전문관리인 자격이 주어지며, 수목원 등록을 위해서는 전문관리인 1인 이상을 갖추어야 한다.

또「농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한 품질인증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인력, 우수농산물관리시설로 지정받기 위한 인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에 채용될 때, 그리고 보수·승진·전보·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또 「공무원임용시험령」에 의하면 6급 이하 및 기능직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임업(산림자원), 임업(산림보호) 등의 직렬에 응시할 경우 자격 등급에 따라 가산점이 부여된다.
 

 

 

응시자격 및 취득방법

 

 

 

 

임업종묘기사는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분야에서 1년 이상의 실무에 종사한 자, 산림, 원예 등 관련학과 4년제 대학교 졸업자나 졸업예정자, 관련학과 졸업자가 아닐 경우 일정이상의 동일 직무분야의 경력을 가진 자 등이 응시할 수 있다.

임업종묘산업기사는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산림, 원예 등 관련학과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나 졸업예정자, 관련학과 졸업자가 아닐 경우 일정이상의 동일직무분야의 경력을 가진 자 등이 응시할 수 있다.

임업종묘기능사의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농업계 고등학교의 원예과, 조경과 등의 관련학과를 졸업하면 자격취득에 도움이 되며,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계훈련원 등에서 임업기술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임업종묘기사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시험과목
– 필기 : ① 조림학 ② 임목육종학 ③ 산림보호학 ④ 토양학 및 비료학
– 실기 : 임업종묘생산실무
3.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3시간 정도)]
4.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임업종묘산업기사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시험과목
– 필기 : ① 임목육종학 ② 조림학 ③ 산림보호학 ④ 토양학 및 비료학
– 실기 : 임업종묘 생산실무
3.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 작업형(2시간 정도)]
4.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임업종묘기능사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시험과목
– 필기 : ① 조림 ② 산림보호
– 실기 : 임업종묘 생산작업
3.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실기 : 작업형(2시간 정도)
4.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자

 

 

 

향후 전망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고 주 5일 근무제로 여가시간이 확대되면서 도심을 떠나 산이나 휴양림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나무를 가꾸고 산림을 조성 하는 일은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드는 사업과도 관련이 있는데 최근 도심 속의 자연을 즐길 수 있는 도시 숲과 도시산림공원 등이 생겨나고 있어 관상수, 조경수,공원수와 같이 조림용 이외의 묘목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학교 숲 조성사업, 가로수 조성·관리사업 등도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임업종묘기사 및 산업기사 등 임업 관련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유기농업기사 자격증(진출분야, 응시방법, 전망 등 )

 

View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