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자원개발기사 자격증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본 자료는 고용정보원의 ‘2010 국가기술자격 정보’에서 찾아보았고,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각종 자격증 정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해양자원개발기사 자격증 개요
해양을 통한 국부창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바다는 고갈된 육지의 자원과 식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제 2의 영토라 할 수 있다.
해저나 지각에 부존하는 각종 광물, 석유, 천연가스 등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안정적인 자원 공급을 위해서 자원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양개발의 중요성이 큰 만큼 자원 개발 업무의 전문지식을 갖추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해양자원개발기사 자격이 제정되었다.
해양자원개발기사는 해저에 분포하는 지각구성물질의 화학적, 광물학적, 암석학적 특성을 시험·평가·분석하고, 퇴적물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과정을 분석한다.
반사 및 굴절탄성파검사, 지자기탐사 등을 통해 산업자원 및 에너지자원을 개발하고, 지반구조물 설계 및 안전진단업무를 한다.
또한 석유, 가스 등의 에너지 자원과 광물자원의 부존상태를 탐사하고, 광물자원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한다.
해양자원개발기사 진출분야
물리탐사전문 엔지니어링업체, 건설업체, 수질·토양환경관리업체, 해저석유개발업체, 정유 및 천연가스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정유업체나 건설업체 등의 부설연구소나 정부연구기관인 지질자원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등으로 입직하여 자원개발관련 연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효용성
「해양환경관리법」에 의해 해양환경감시원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원의 자격을 부여받아 활동할 수 있다.
자원 및 해양 관련 공공기관이나 기업체 채용 시 자격증소지자를 우대할 수 있으며,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공업직렬의 자원분야, 해양수산직렬의 일반해양, 일반수산, 어로, 수로, 수질분야에 응시 시 가산점이 부여된다.
응시자격 및 취득방법
4년제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해양공학, 해양토목학, 해양산업공학, 해양환경학,해양자원학, 해양개발학, 지구해양과학, 해양에너지자원공학, 지구시스템공학 등의 관련 학문을 전공하면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생물학, 화학, 물리학, 지질학 등의 순수과학 전공자들은 현장에서 실무경력을 2년 정도 쌓은 후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1.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2. 시험과목
– 필기 : ① 해양학개론 ② 지질해양학 ③ 해양자원학 ④ 탐사공학 ⑤ 해양계측학
– 실기 : 해양자원개발실무
3.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4.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향후전망
전 세계적으로 해양의 부가가치를 인식하고 부족한 육상자원을 대체할 해양자원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해양개발사업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이 매우 높아 이 분야의 국가 및 민간의 지원과 투자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에너지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해져 해양자원의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이 보다 필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연히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석유파동으로 인한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에너지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산업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및 원료광물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석유, 천연가스, 메탄하이드레이트를 비롯한 에너지개발과 신재생 에너지 개발 등의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환경과 관련한 폐자원의 재활용, 광물자원의 고부가가치화 처리 등의 업무를 위해서 해양자원개발 인력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Views: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