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총수요 및 총공급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총수요 및 총공급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거시경제학은 물가수준, 실업, 인플레이션과 산업생산 등과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전체로서의 국가경제의 총합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거시경제학-총수요-총공급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총수요 및 총공급 의미

 

어떤 재화의 생산량과 가격은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나라 전체의 재화들의 생산량(즉 GNP)과 물가수준도 재화들 전체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수요와 공급을 총수요와 총공급이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여러가지 상이한 재화들이 모여 있으므로 개별재화의 경우와는 달리 그 수요와 공급량을 재화의 갯수로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총수요는 지출하려는 금액의 총량으로 그리고 총공급은 공급되는 재화들의 화폐가치의 합으로 표시할 수 밖에 없다.

총수요란 일정한 기간 동안 발생하는 재화와 용역에 대한 지출의 합계를 말한다.

그런데 가계,기업,정부등 경제주체가 원하는 총수요는 물가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즉 물가가 높을수록 원하는 총수요의 크기는 줄어들것이며 물가가 낮을수록 총수요는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물가와 총수요의 관계를 나타내는 총수요 곡선은 우하향의 기울기를 가지게 될 것이다.

 

총수요

총수요의 구성을 살펴보면,가계에서의 재화와 용역에 대한 소비(C), 기업에서의 새로운 설비 및 장비구입 그리고 재고형성을 위한 투자(I), 정부에 의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소비(G), 그리고 재화와 용역의 대외 수출(X)로 구성되어 있다.

총수요 = 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수출

 

총공급

총공급이란 경제가 생산하여 시장에 공급하는 재화와 용역의 총량이다.

즉 모든 기업들이 각각의 물가수준에서 공급하기를 원하는 재화와 용역의 총공급액을 가리킨다. 물가가 올라갈수록 생산하기를 원하는 총공급액은 늘어날 것이고 반대로 물가가 내려 갈수록 기업들은 생산액을 줄이려 할 것이다.

따라서 총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우상향한다.

그런데 총공급은 물가수준이 올라간다고 무한히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총공급은 모든 자원이 완전고용될 때의 생산수준보다 더 커질 수는 없다.

그러나 이 완전고용 생산수준은 노동력의 증가,향상된 교육과 노동자의 숙련도의 증가,저축과 자본투자의 증대,새로운 자원개발,기술의 발전등에 따라 증가한다.

총공급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한 경제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총량 즉, 그 기간중에 발생한 국민소득(Y)과 해외로부터의 재화와 용역의 수입(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소득은 다시 그것이 처분되는 방향에 따라 소비(C)와 저축(S), 그리고 조세지출(T)로 나눌 수 있다.

총공급=국민소득+수입=소비+저축+조세+수입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총수요 및 총공급 영향

 

국민경제 전체에서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일반물가수준 및 생산국민소득(Y)이 결정된다.

즉,총수요 = 총공급 = 국민소득 + 수입의 관계를 가지므로 국민소득은 총수요에서 수입을 뺀 크기로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국민소득의 크기는(소비+투자+정부지출+수출 一수입)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그림으로 표시하면 총수요곡선과 총공 급곡선의 교차점에서 국민소득 및 물가수준이 결정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그림을 통해 보면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의 위치와 기울기에 따라 국민소득수준과 일반물가수준이라는 두가지 가장 중요한 거시경제변수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총수요 및 총공급 예시

 

그러면 이러한 과정을 실제 우리나라의 경제에 적용하면서 그림을 통해 설명해보자.

1976년부터 1978년까지 3년동안은 경기과열시기이다.

중동의 건설 붐으로 막대한 외화가 홀러들어 왔으며 (X 상승), 중화학 공업부문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졌고(I 상승), 정부의 재정지출은 방만하게 팽창 되었다(G 상승).

그 결과로 일찌기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경기호황을 가져왔고 가계,기업 및 정부가 모두 홍청대었으며 부동산 투기도 극심하였다.

이것은 결국 총수요의 증가를 의미하는데,아래 그림에서 보면 총수요곡선 DD가 D’D’으로 이동한 것으로 표시된다.

이와같은 총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급조건은 단기적으로 별로 변한것이 없어 총공급곡선은 SS에서 움직이지 않았다.

그 결과 물가수준이 상승 하면서 생산이 점차로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며 정부에서 무리 하게 가격상승을 억제하려하자 자동차,에어콘,냉장고 등 일부 내구소비재는 프리미

엄을 받고 거래가 이루어 졌다.

요컨대 수출,투자,재정 지출등의 증대로 인한 총수요의 증가는 국민소득을 향상시켰고 또한 인플레이션도 발생시켰다.

거시경제학-총수요-총공급

 

 

경기과열에 이어서 1979년 제2차 석유파동의 결과로 우리나라는 1979〜1982년의 4년동안 혹독한 경제난국에 직면하였다.

원유가격의 급격한 상숭으로 기업생산비가 높아져 생산이 침체되었고 따라서 총공급도 감소하였다.

이것은 그림에서 총공급곡선 SS가 S’S’으로 이동한 것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총수요는 그 전과 같은 수준이었으므로 생산이 감소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소위 스태그플레이션(stegflation)에 직면하였다.

1980년의 실질 GNP성장율은 -3.7%를 기록하였고 반면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율은 무려 28.7%에 달하였다.

거시경제학-총수요-총공급

 

 

주의할 점은 이와 같이 결정된 총수요,총공급수준이 곧 국민소득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국민소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총수요, 총공급에서 수입을 뺀 금액이다.

따라서 수입이 갑자기 늘 경우 그림에서는 총공급이 증가하여 물가가 하락하며 균형총수요•총공급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국민소득 즉, 총수요•총공급에서 수입을 제외한 금액은 오히려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출처 : KDI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국민총생산 – 알아두면 쓸모있는 잡학사전 (infoworld365.com)

Views: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