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하는일, 되는법, 업무환경, 자격 등)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본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23 한국직업전망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은 쓰레기와 기타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나 이를 재활용 하기 위한 재활용 관련 장치를 조작합니다.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은 쓰레기와 기타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나 이를 재활용 하기 위한 재활용 관련 장치를 조작한다.-하는일-되는법-업무환경-관련학과-자격-전망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하는일

재활용처리장치조작원은 음식물류 폐기물, 폐유 등을 호기성발효, 혐기성소화, 재활용 처리공정을 통해 퇴비화 및 에너지화, 재생연료 등을 생산하는 설비를 조작한다.

폐기물은 크게 생활 및 산업 폐기물, 의료폐기물 등의 적출물, 분뇨 및 오니 등으로 구분되며 이들 폐기물을 방출, 소각, 재활용하기 위해 각종 기기를 조작하거나 관리한다.

소각로관련장치조작원은 폐기물 소각로를 조작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들은 중앙통제시스템을 통하여 연소 공기 주입 등 폐기물 소각환경을 조작하여 폐기물이 제대로 소각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업무환경

수도사업소, 하수종말처리장, 폐수정화처리장, 소각로사업체 등 환경관련 장치조작원이 근무하는 곳에서는 화학약품의 취급이 많고, 기계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과 건강 확보가 중요하다.

작업현장에 소음이나 분진 발생이 많아 보호장비를 갖추는 것이 좋다.

재활용품의 압축·파쇄·분쇄 장치 조작원의 경우 하루 8시간 근무가 많으나, 24시간 가동되는 소각로조작원의 경우 교대제 근무가 일반적이다.
 

되는법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은 통상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기계, 환경, 에너지 관련 전공자가 취업에 유리하다.

이들은 재활용처리업체 및 소각처리업체에서 근무하며 소각로는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사업체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전문대 이상 졸업자를 채용하나, 재활용 처리는 소규모업체 위주로 운영되어 특별한 학력이나 자격을 요구하지는 않는 편이다.

폐기물 관련 장치 조작원은 채용 후 현장에서 기계에 대한 일정 교육을 받은 후 근무한다.

 

 

관련 학과

기계공학과, 환경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 관련과 등

관련 자격

폐기물처리기술사/기사/산업기사, 대기환경기사/산업기사, 환경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적성 및 흥미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은 환경 관련 장치를 다루므로 기계에 대한 지식과 흥미가 있어야 한다.

또한 육체적 소모가 많고 재활용업체에서는 하이카(집게차) 운용을 많이 하므로 육체적 강인함이 요구된다.

 

 

경력개발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은 폐기물처리업체, 건설업체, 원료재생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

대부분의 폐기물처리업체는 소규모 사업체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 승진보다는 경력을 쌓은 후 동일 업종인 폐기물처리업체를 창업하는 경우가 많다.

재활용업체 조작원은 중장비 면허를 소지한 경우가 많아 중장비 운영이 많은 건설업 등으로의 전직이 가능하다.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전망

 

 

향후 10년간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2031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2)에 따르면,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 취업자 수는 2031년 2021년과 동일한 13천 명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환경부·한국환경공단(2021)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2020년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각종 폐기물 중 생활폐기물은 2020년 2,254만 톤이 발생하여 2015년 1,871만 톤 대비 20.5%p 증가하였으며, 지정폐기물과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건설폐기물도 경기변화에 따라 매해 증감률에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체 폐기물 처리 방법 중 재활용 비율은 2020년 87.4%로 2015년 이후 매해 소폭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각 비율은 2020년 5.2%로 2015년 이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 폐기물 처리 방법에서 소각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다.

정부는 2018년 이후 ‘재활용폐기물 대란’ 재발을 막기 위해서 ‘재활용 폐기물관리 종합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골자는 단순히 수거 시스템 개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양 자체를 줄이자는 것이다.

이에 2030년까지 플라스틱폐기물 발생량을 50% 줄이고 재활용률은 기존 34%에서 7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재활용이 어려운 색소 페트병을 사용한 생수와 음료수 용기는 2020년까지 무색으로 바뀌고 세탁소 비닐, 에어캡 등 재활용 의무가 없었던 비닐·플라스틱 제품은 재활용 의무대상으로 편입하며 2022년까지 1회용 컵과 비닐봉투 사용량의 35% 감량 목표를 세웠다.

제조단계부터 재활용이 쉽게 생산하도록 하고, 재활용이 어려운 제품을 단계적으로 퇴출하는 등 생산자의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폐기물의 단순 처리뿐 아니라 폐비닐 등 생활 및 산업용 폐기물 재활용을 활성화하고자 하고 있다.

정부는 자원순환기본법을 통해 순환자원의 인정 요건을 규정하고 있는데 본 법에서 지정된 폐기물을 순환자원으로 인정하여 폐기물관리법상의 각종 규제를 면제하여줌으로써 자원 순환율을 높이고자 한다.

순환자원 인정제도는 2018년 1월 처음 도입·시행되었는데 도입 당시에는 폐지, 폐금속 등을 중심으로 한정되어 있던 인정 품목을 2021년에는 인정기준과 절차를 완화하여 커피찌꺼기, 왕겨, 쌀겨 등을 순환자원으로 인정하였다.

2022년에는 ‘순환자원선(先)인정제’를 통해 전기차 폐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우선 인정할 예정으로 순환자원의 범위는 점차 확대되어 관련 재활용 산업 또한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규제 강화, 환경 및 안전에 강한 의식변화, 그리고 정부의 물산업 육성, 폐기물 재활용 강화 등과 맞물려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의 고용은 긍정적이나, 설비자동화 및 스마트화 등은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증가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나 설비자동화 및 스마트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재활용처리장치·소각로조작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하수도처리장치조작원 (하는일, 되는법, 업무환경, 자격, 학과 등)

Views: 100